알고리즘 문제풀이

[BOJ] 14503 - 로봇 청소기 본문

자료구조 + 알고리즘/[BOJ]

[BOJ] 14503 - 로봇 청소기

JoonDev 2020. 12. 9. 16:12

14503번 - 로봇 청소기

시간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은 사람 정답 비율
2 초 512 MB 24692 13064 8457 51.858%

문제

로봇 청소기가 주어졌을 때, 청소하는 영역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로봇 청소기가 있는 장소는 N×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1×1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칸은 벽 또는 빈 칸이다. 청소기는 바라보는 방향이 있으며, 이 방향은 동, 서, 남, 북중 하나이다. 지도의 각 칸은 (r, c)로 나타낼 수 있고, r은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c는 서쪽으로 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로봇 청소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1. 현재 위치를 청소한다.

  2. 현재 위치에서 현재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방향부터 차례대로 탐색을 진행한다.

    1. 왼쪽 방향에 아직 청소하지 않은 공간이 존재한다면, 그 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한 칸을 전진하고 1번부터 진행한다.

    2. 왼쪽 방향에 청소할 공간이 없다면, 그 방향으로 회전하고 2번으로 돌아간다.

    3. 네 방향 모두 청소가 이미 되어있거나 벽인 경우에는, 바라보는 방향을 유지한 채로 한 칸 후진을 하고 2번으로 돌아간다.

    4. 네 방향 모두 청소가 이미 되어있거나 벽이면서, 뒤쪽 방향이 벽이라 후진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작동을 멈춘다.

로봇 청소기는 이미 청소되어있는 칸을 또 청소하지 않으며, 벽을 통과할 수 없다.

입력

첫째 줄에 세로 크기 N과 가로 크기 M이 주어진다. (3 ≤ N, M ≤ 50)

둘째 줄에 로봇 청소기가 있는 칸의 좌표 (r, c)와 바라보는 방향 d가 주어진다. d가 0인 경우에는 북쪽을, 1인 경우에는 동쪽을, 2인 경우에는 남쪽을, 3인 경우에는 서쪽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셋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장소의 상태가 북쪽부터 남쪽 순서대로, 각 줄은 서쪽부터 동쪽 순서대로 주어진다. 빈 칸은 0, 벽은 1로 주어진다. 지도의 첫 행, 마지막 행, 첫 열, 마지막 열에 있는 모든 칸은 벽이다.

로봇 청소기가 있는 칸의 상태는 항상 빈 칸이다.

출력

로봇 청소기가 청소하는 칸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3 3
1 1 0
1 1 1
1 0 1
1 1 1

예제 출력 1

1

예제 입력 2

11 10
7 4 0
1 1 1 1 1 1 1 1 1 1
1 0 0 0 0 0 0 0 0 1
1 0 0 0 1 1 1 1 0 1
1 0 0 1 1 0 0 0 0 1
1 0 1 1 0 0 0 0 0 1
1 0 0 0 0 0 0 0 0 1
1 0 0 0 0 0 0 1 0 1
1 0 0 0 0 0 1 1 0 1
1 0 0 0 0 0 1 1 0 1
1 0 0 0 0 0 0 0 0 1
1 1 1 1 1 1 1 1 1 1

예제 출력 2

57

출처

www.acmicpc.net/problem/14503

 

14503번: 로봇 청소기

로봇 청소기가 주어졌을 때, 청소하는 영역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로봇 청소기가 있는 장소는 N×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1×1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

www.acmicpc.net

알고리즘 분류

  • 구현
  • 시뮬레이션

접근 방법

간단한 시뮬레이션 문제였다.

현재 로봇이 바라보고 있는 방향에 따라 로봇의 왼쪽 방향이 전체 보드에서 어느 위치를 가리키고 있는 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로봇의 위치의 상하좌우에 청소할 수 있는 칸이 없을 경우 후진을 하는데, 이 또한 로봇이 바라보고 있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Position을 바꿔주는 것이 중요하다.

로봇의 방향에 따른 switch-case 문 보다는, dir 배열을 선언하여 상대적으로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구현하였다.

소스 코드

#include <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const int dir[4][2] = {{-1,0},{0,1},{1,0},{0,-1}}; // 북, 동, 남, 서

int N,M;
int board[51][51];
bool visited[51][51];
int r,c,d;
int answer;

int main(void){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cin.tie(0);

    cin >> N >> M ;
    cin >> r >> c >> d;

    for(int i=0; i<N; i++){
        for(int j=0; j<M; j++)
            cin >> board[i][j];
    }

    answer = 1, visited[r][c] = true;
    while(true){
        // 4방면을 탐색한다.
        bool canFind = false;
        for(int i=1; i<=4; i++) {
            int nd = (d - i) < 0 ? 4+d-i : d - i;
            int nr = r + dir[nd][0];
            int nc = c + dir[nd][1];

            if (0 <= nr && nr < N && 0 <= nc && nc < M && !visited[nr][nc] && board[nr][nc] != 1) {
                canFind = true;
                d = nd;
                r = nr;
                c = nc;
                break;
            }

        }
        // 현재 칸을 청소한다.
        if(canFind){
            visited[r][c] = true;
            answer += 1;
        }
        // 4방향 모두 움직일 수 없는 경우 후진을 한다.
        else{
            int back_idx = (d + 2)%4;
            int nr = r + dir[back_idx][0];
            int nc = c + dir[back_idx][1];

            // 후진을 할 수 없는 경우
            if( nr < 0 || nr >= N || nc < 0 || nc >= M || board[nr][nc] == 1 )
                break;

            r = nr ;
            c = nc ;

        }

    }

    cout << answer;

    return 0;
}



 

'자료구조 + 알고리즘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1976 번 - 여행 가자  (0) 2020.12.12
[BOJ] 15591 번 - MooTube(Silver)  (0) 2020.12.11
[BOJ] 16637번 - 괄호 추가하기  (0) 2020.12.04
[BOJ] 2580번- 스도쿠  (0) 2020.12.04
[BOJ] 1946번 - 신입 사원  (0) 2020.12.02
Comments